​네트워크 상태: 정치 철학 비판(1부)

avatar
DoraHacks
2개월 전
이 글은 약 13887자,전문을 읽는 데 약 18분이 걸린다
사이버 국가가 인간의 자율성을 주요 목표로 삼는 경우에만 이는 윤리적이고 합법적입니다.

원작자: 도라 인턴

개요: 이 기사는 Balaji Srinivasan의 저서 The Network States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윤리적 네트워크 상태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네트워크 국가가 국민 국가를 대체하려면 도덕적 또는 윤리적 기반이 있어야 합니다. 이 글은 사이버 국가가 인간의 자율성을 주요 목표로 삼을 때에만 그것이 윤리적이고 정당성을 갖는다고 믿습니다. 기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이 문제의 역사적 배경을 논의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무엇이 국가를 윤리적으로 만드는가에 대한 핵심 질문에 답하려고 시도할 것입니다.

Nostr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Bitcoin Review 열에서 이 기사의 미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https://yakihonne.com/article/naddr1qvzqqqr4gupzpltccdl38saf6k7wsrwry7x49xafprj3r85slyf3jpw95kswczpnqqgxyvekxsunjcmrxcmx2erxxy6ny9xq47w

1부

새로운 경제체제로 자본주의가 등장하면서 낡은 봉건 길드와 그 소규모, 비효율적인 생산방식을 대체하면서 민족의 출현과 민족의식에 필요한 문화적 조건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은 자신의 저서 상상된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에서 이 주장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주장은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기술적 기반의 모든 변화가 전체 사회 구조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분명히 유사합니다. 인간이 환경을 수정하고, 변수를 통제하고, 생활 조건의 가혹함을 줄이면서 더 높고 더 합리적인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칼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외부 세계에 작용하고 그것을 변화시킴으로써 그는 동시에 자신의 본질을 바꿉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가 진화하고 더욱 효율적이고 생산적이 됨에 따라 인간의 의식도 그에 따라 발전합니다. 석기 같은 원시적인 형태의 생산성에서 시작하여 인간은 이러한 원시적인 형태의 기술로 가능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조직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기술은 자연을 길들이고 변화시키는 능력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여 인간의 이해와 지식을 가리고 인간의 자유와 자기 인식 능력을 크게 방해합니다. 따라서 생산방식이 발전할수록 더욱 복잡한 형태의 사회조직이 가능해진다. 인간은 자신의 자율성, 즉 외부 인과 요인의 우연성보다는 이성, 합리적인 선택, 원칙에 따라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서 낡은 제도와 사회 구조는 점차 쇠퇴하고 낡아지게 되어 발전하는 경제 기반에 맞춰 사회 기반 시설을 업데이트하는 혁명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서 낡은 제도와 사회 구조는 점차 쇠퇴하고 낡아지게 되어 진화하는 경제 기반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 인프라를 업데이트하는 혁명이 일어납니다. 자본주의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경제적 필요를 지원하기 위해 더 나은 노동 시스템이 필요했을 때, 사람들은 도시로 모여들었고 봉건 체제 하의 농촌 생활을 버리고 자신들을 더 큰 집단의 일부로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 국가.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독립적이고 거의 동맹을 맺고 서로 다른 이해관계, 서로 다른 법률, 서로 다른 정부, 서로 다른 관세를 갖고 있던 여러 지역이 이제 단일 정부, 단일 법률, 단일 국가를 갖는 단일 민족 계급으로 통합되었습니다. 민족 계급 통일된 이익 국가와 통일된 관세. “따라서 산업화와 그 새로운 도구는 생산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인간의 의식을 변화시키며 사회가 민족 국가가 되는 데 필요한 조건을 만들었습니다.

앤더슨은 상상의 공동체에서 산업화와 국민국가를 향한 이러한 발전이 주로 1440년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발명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이 기술이 점차 공통의 국가 언어로 진화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신문, 소설, 성경을 독자들에게 전파하기 시작했으며, 국가 의식, 즉 개인의 영역을 초월하는 더 큰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위한 문화적 조건을 조성했다고 믿습니다. 주위. 이전에는 자신들이 서로 다른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프랑스인, 영국인 또는 미국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점차 자신을 공유된 경험으로 연결된 국가의 일부로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은 인류에게 의미를 부여했던 낡은 종교적, 예정된 질서를 대체했으며, 민족성은 자기 식별의 주요 방식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민족국가의 역사적 발전을 이끈 또 하나의 중요한 기술은 장부활용과 복식부기였다. 대출과 차용에 대한 기록이 유지되면서 더 많은 무역, 자산 이전, 일반적인 형태의 기록 보관이 가능해졌으며, 이로 인해 영토 간 경계가 더욱 균일하고 명확하며 정의되어야 했습니다. 따라서 국민국가는 사회적 진보의 요구에 대응하는 수단이 되었습니다. 봉건주의와 왕권신수권 개념, 낡은 종교적 가르침, 낡은 형태의 사회 제도는 이러한 경제적 변화에 적응할 수 없었습니다. 계몽주의(1685-1789)의 도래는 국가와 그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져왔습니다. 국가는 더 이상 신적 질서의 등불로 여겨지지 않고, 자연권을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이 부여한 권력의 합리적 타협으로 점점 더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제 국가는 분쟁 해결, 법 집행, 범죄자 처벌을 담당하는 제3자 기관이 되었습니다. 국가의 정당성은 통치에 동의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정도로 제한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새로운 제도에 대한 많은 신뢰가 생겼고,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권력의 과도한 집중을 가져온다고 믿었습니다. 은행은 금융 장부를 보유하게 되었고, 정보의 보급과 뉴스 및 사건의 보고는 선택된 소수 기업의 책임이 되었습니다. 개인의 권리와 자유 관세. 해당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은 여전히 이러한 기관을 이타적이고 객관적인 제3자 중재자로 신뢰해야 합니다. 국가 및 정부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악덕은 중요한 영향을 미쳐 시민과 기관 사이에 심각한 신뢰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Michael J. Casey와 Paul Vigna는 자신의 저서 The Truth Machine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신뢰, 특히 우리 기관에 대한 신뢰는 필수적인 사회적 자원이자 모든 인간 상호 작용의 진정한 윤활유입니다. 당연히 — 우리는 줄을 서서 기다리고 교통 규칙을 준수하며 모두가 똑같이 할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신뢰가 없으면 상황이 실제로 무너질 수 있습니다.

오늘날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발명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기존 제도가 더 이상 쓸모가 없으며 새로운 형태의 사회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Balaji Srinivasan은 The Network State에서 이 점을 강조합니다. 그는 네트워크와 이를 통해 개인이 디지털, 비경관을 조직할 수 있는 방법을 주장합니다. 토지 없는 공동체의 능력은 사회 발전을 방해하는 오래된 민족 국가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그는 블록체인과 무신뢰 시스템을 지원하는 능력이 이러한 기관이 수행하도록 위임받은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기존 기관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벤트 정보는 블록체인에 로드되고 변조 방지 상태를 유지하여 이기적인 당사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정보를 변조하고 조작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개인의 개인 정보는 암호화 기술을 통해 보호되고 중앙 집중식 민간 기술 회사와 같은 개인이 아닌 개인에 의해 제어될 수 있습니다. Google의 통제와 마찬가지로 웹은 민족 국가를 초월하여 오랫동안 토지 분쟁으로 인해 야기된 수많은 전쟁과 갈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가져오는 낙관에도 불구하고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 기사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Srinivasan의 용어를 사용하여 윤리적 사이버 국가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봅니다. 일부 민족 국가는 인간 존재에 대한 굴욕적인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 판단과 유사한 판단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이버 국가가 윤리적이라고 간주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표준이 무엇인지 고려합니다. 나는 이것이 인간의 자율성이 국가의 주요 목적이 되어야만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2부

이를 이해하기 위해 국가 생성을 복잡한 활동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활동과 마찬가지로 특정 목적이 있습니다. 스포츠, 정원 가꾸기, 자동차 운전 등이 활동인 것처럼, 국가를 건설하는 것도 훨씬 더 복잡한 활동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그러나 즐거움이나 오락을 위한 일부 활동과 달리 국가의 목적은 항상 도덕적, 윤리적 차원을 갖습니다. 국가를 만드는 활동에 참여할 때마다 이 활동의 목적은 항상 협력적인 사회적 관행과 제도를 확립하고, 국가 구성원의 행동을 지도하고 통제하며, 인간이 행동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는 원칙을 공식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도덕적입니다. 개인과 집단의 행복을 추구합니다. 즉, 국가 건설 활동의 목표는 국가 내 구성원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하는 특정 도덕적 목표에 따라 함께 살고 생활하는 집단의 개인이 수행하는 실질적인 활동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활동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는 도덕적으로 중립적일 수 없으며 도덕적, 윤리적 삶과 분리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국가 건설 활동을 도덕적, 윤리적 목표 추구보다 열등한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금전적 이익 추구, 기술 혁신, 시장 확대, 개인적 이익 충족 등 다른 목표와 혼동해서도 안 됩니다. 이는 국가 건설과 다른 활동에 즉각 참여하게 만드는 양상적 혼란을 초래합니다.

패턴 혼란이란 잘못된 목표를 염두에 두고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자신을 예술가라고 선언하지만 주된 목적이 금전적 이득이라면 매우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활동은 예술적 창작이라기보다는 산업적 제조업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아마도 예술가의 보다 대표적인 목표는 이익보다는 아름다움, 즉 자기표현을 창출하는 것일 것입니다. 이윤은 예술적 목적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수단일 뿐이며, 예술가가 살고 있는 사회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필수 수단입니다.

또는 관심 있는 사람을 만나기 위해 친구를 이용하지만 여전히 자신이 진정한 친구라고 믿는 것과 같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특정 혜택을 얻기 위해 친구를 사귀는 사람을 상상해 보십시오. 그 사람은 자신이 하고 있는 활동의 유형에 대해 오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친구가 된다는 것은 관계에 필요한 특정 목표를 채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정 관계에서 분명한 목표는 상대방을 그 자체의 목적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다른 이유가 아닌 단지 친구라는 이유만으로 가치가 있는 사람입니다. 관련된 목표 없이 우정을 쌓는다는 것은 매우 혼란스러운 일입니다.

따라서 사이버 상태를 구축할 때 윤리적 상태 프로젝트를 생성하려면 스키마 혼란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업자가 외부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자율성을 감소시켜 사람들에게 큰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나는 주장합니다. 자율성이란 외부 영향에 완전히 좌우되지 않는 의식적이고 신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의미합니다. 철학자 해리 프랑크푸르트는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자율성은 본질적으로 우리의 동기와 선택이 수동적이지 않고 능동적인지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즉, 그것이 우리가 실제로 원하는 동기와 선택인지 여부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우리가 이상하다고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 인간의 자율성은 인간의 주관성 속에 존재하며, 이는 개인의 의식적 경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모든 사람의 생각, 욕망, 인식, 걱정, 두려움, 불안 등의 중심입니다. 주관성은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양적 차원이고 다른 하나는 질적 차원입니다. 첫 번째 차원은 정신 상태와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인 경험의 흐름과 관련됩니다. 어느 순간 나는 배고픔을 느끼고 이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하지만, 어느 순간 나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두려움의 대상으로부터 도망치는 등의 일을 합니다. 이러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주관성의 이러한 차원은 높은 수준의 수동성을 포함합니다. 사건과 경험은 단순히 나에게 일어납니다. 질적인 차원은 좀 더 활성화되어 자율성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여기에는 자신의 정신 상태를 평가하고, 행동할 가치가 있는지, 합리적인지,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반성하고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며, 자율적인 행동은 수동적인 양적 차원에 의해 생각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질적 특성에 기반합니다. . 그 지역을 없애세요.

이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는 국가의 주요 목표가 구성원의 주체성의 질적 성격의 발전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간의 능력을 기본적인 욕구가 아닌 부차적이거나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패러다임의 혼란입니다. 이는 국가가 시민의 자율성을 촉진하거나 심지어 결정하는 주요 기관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부 국가의 존재와 그들이 저지르는 범죄는 이러한 주장을 반박합니다. 그러나 국가가 그 안에서 어느 정도 역할을 한다는 점만 말할 뿐입니다. 국가의 정확한 역할이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형태가 무엇이든, 국가의 주요 목표는 시민의 주체성 발전을 위한 조건을 증진하는 것입니다. 사회는 이 목표 실현에 대한 각 부분의 기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비율로 나누어진 거대하고 확장된 평면과 같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경제는 한 부분을 차지하고, 공동체와 개인의 공적, 사적 업무는 또 다른 부분을 차지하고, 국가에는 또 다른 부분이 할당됩니다. 이 평면의 정확한 구성이 무엇이든 각 부분은 인간의 필요를 완전히 충족시키기 위해 협력하고 작동합니다. 나는 이것이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국가는 각 부분의 정확한 역할을 지시하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궁극적인 현실과 일치하는 단일 고정 형태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국가가 목표의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이 진술이 틀렸고 국민성은 도덕적 활동이 아니라 단지 건전한, 즉 자신의 이익과 선호를 보호하기 위한 이기적인 활동일 뿐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즉, 국가는 도덕성에 관심을 두지 않고 개인이 타인의 간섭 없이 자신의 이익과 선호를 추구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는 데만 관심을 갖는다. 개인은 자신의 행복과 생존, 욕망의 만족을 중시하므로, 생명, 자유, 재산을 둘러싼 분쟁이나 갈등을 해결할 권한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 사는 것은 개인의 이익에 어긋납니다. 그러므로 합의에 의해 통치하고, 법을 위반한 자를 처벌하고, 분쟁을 판결하고 해결하며, 모든 사람의 기본 자유를 보호하고 타인이 자신의 삶을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권력을 가진 국가를 구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국가의 목표는 주로 도덕적이기보다는 신중한 것입니다. 개인은 강제 없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한 원하는 네트워크 국가에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Srinivasan의 견해가 국가 창설에 대한 도덕적 개념과 건전성 개념 사이 어딘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국가의 정당성은 오로지 피통치자의 동의에 달려 있다고 믿었습니다. 사이버 국가에 충분한 구성원이 있으면 외교적 인정을 받을 정도로 성장하면 국가의 정당성이 입증됩니다. 사람들은 동의 조건에 따라 창립자에게 일부 권한을 부여하는 스마트 계약에 동의했습니다. 그래서 Srinivasan은 국가가 윤리적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윤리적이라는 단어는 모호합니다. 합의 자체가 윤리적이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국가의 주요 목표는 선택의 자유입니까? 전자는 도덕적 또는 윤리적 판단은 개인 자신에 의해 결정되며 객관적인 사실은 없으며 개인이 자신의 이익, 선호 및 욕구에 따라 계산하고 계약의 공정성, 공정성 또는 평등 여부가 전적으로 이에 달려 있다고 믿기 때문에 신중합니다. . 모두의 의견. 후자는 선택의 자유가 국가의 도덕적 목표를 구성한다고 믿기 때문에 도덕적 수준에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계약이 공정한지, 아니면 이 독립적인 기준을 벗어나는지가 아니라 개인이 자유롭게 국가 가입을 선택하는지 여부입니다. 가장 가치 있는 것은 개인의 선택 능력이기 때문이다. 계약이 공정한지 정당한지는 각 사람이 스스로 결정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계약에 동의하면 국가는 도덕적으로 합법적입니다.

스리니바산이 어떤 견해를 지지하든 두 가지 설명 모두 문제가 있으며, 나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두 가지 설명을 모두 반박하는 주장을 제시할 것입니다. 첫째, 국가가 건전한 목적에만 관심이 있다고 믿는 것은 수단과 목적을 혼동하는 것이고, 국가가 개인의 삶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며, 둘째, 선택의 자유를 국가의 주요 목표로 간주하는 것은 선택 및 자유 선택. 이러한 혼란은 자율성을 개발하려는 인간의 필요성을 무시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을 감소시킵니다. 사람들의 관심은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있습니다. 자원에 접근할 수 없고 권리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 기관에 의존할 수 없는 사회로부터의 고립은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더 유리한 조건을 조성한다고 해서 국가의 주요 목표가 정의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선택 능력이 반드시 자율 능력을 존중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적인 자유 선택이 아닌 선택의 외양만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주장을 더 발전시키기 전에, 윤리적 국가를 개념화하는 Srinivasan의 두 가지 잠재적인 방식을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전성 이론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세 번째 부분

건전성 이론에 따르면, 국가의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이익, 욕구, 선호를 추구하고, 개인의 행동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타인의 간섭 없이 행동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이러한 견해의 대표적인 사람은 철학자 토머스 홉스이다. 자연 상태에서 개인은 법적, 제도적 제약 없이 조직된 집단 외부에 존재하며, 개인은 끊임없이 통제와 안전을 추구하며 영원한 갈등과 분쟁, 경쟁으로 가득 찬 전쟁 상태입니다. 그 힘. 이러한 상황의 타당성을 떠나 중요한 것은 개인을 이렇게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본성을 계산적인 행동, 즉 개인의 이익에 대한 합리적 추구로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해상충이 존재하고, 모든 사람은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의 생존을 위해 싸울 고유한 권리를 갖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자신의 생존 필요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의 삶은 잔인하고 잔인하며 짧습니다. .

그러므로 합리적으로 볼 때, 사람들 사이의 합의와 계약을 집행하고, 개인이 추구할 수 있는 평화로운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과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지속적인 전쟁과 갈등을 해소하는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간섭을 두려워하지 않고 목표를 달성합니다.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는 다음과 같이 표현했습니다. “모든 사람은 동일한 목적을 추구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한 자신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행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인 법적 틀 내에서 모든 사람의 자유를 보장합니다.”

그러므로 국가는 도덕성에 기초하여 세워진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한 합리적 계산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국가는 사람들이 서로를 존중할 수 있게 해주거나 모든 사람이 침해할 수 없는 존경을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기 때문에 만들어졌습니다. 칸트는 국가 건국이란 “자연의 메커니즘이 인간에게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발견하여 인간의 적대적인 태도에 대한 적대감이 인간으로 하여금 서로 강압적인 법칙에 복종하도록 강요함으로써 평화로운 상태를 이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어떤 법을 집행할 수 있는지. 이것이 건전한 국가 수립 이론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가장 먼저 주목할 점은 그것이 담고 있는 인간의 주관성 개념이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 본성에 대한 홉스의 견해는 주관성이 주체의 욕구와 선호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산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므로 국가의 목적은 백성들이 평화로운 조건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존할 수 있도록 규율하는 것입니다. 국가의 임무는 특정한 도덕적 목표를 규정하거나, 개인에게 선에 대한 개념을 안내하거나,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욕구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건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타인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권리.

문제는 인간의 주관성에 대한 이러한 이해가 일차원적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은 생존, 기본적인 욕구 충족 등 특정한 자연적 욕구와 선호를 갖고 태어나며, 국가는 이에 간섭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러한 욕구를 유지하고 자신의 희망에 따라 삶을 형성하려는 각 개인의 충동을 보호해야 합니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누구나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견해는 너무 단순하다. 이는 인간의 욕구와 선호가 오직 하나의 정량적 평면만을 차지하며, 각 사람은 동일한 일을 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능력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욕구를 극대화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한 걸음 물러서서 욕망 자체가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 묻는다면, 우리는 더 이상 양적 측면에서 질문하지 않고 욕망의 질적 본질에 대해 묻기 시작합니다. 이 욕망이 다른 욕망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까? 2차 욕구에 대한 질문입니다.

일차적 욕망은 대개 우리에게 발생합니다. 그것은 자연스럽게 발생하여 우리를 욕망의 대상으로 인도합니다. 먹고 싶은 욕망은 내 의지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일정 기간 동안 먹지 않으면 이 욕구는 자연스럽게 다시 일어납니다. 2차 욕구에는 의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는 특정 욕구가 사람들이 자신의 의지를 주도하려는 동기인지 여부가 포함됩니다. 해리 프랑크푸르트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와 같은 생물은 자신의 행동을 추동하는 욕망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그들은 자신의 욕망, 즉 원하는 것, 원하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것에 대한 욕구를 공식화하는 성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엇인가.” 주관성의 양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이러한 구별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누군가가 즉각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자신의 행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면, 자신이 행동하지 않는 욕구, 행동을 유도하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욕구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는 1차 욕구와 경쟁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 하나의 욕망이 다른 욕망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구별을 염두에 두고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이 진술될 수 있습니다. 이 질적, 평가적 차원은 무엇보다도 개인이 살고 있는 사회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거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말에 따르면 .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언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은 내면과 외면의 삶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형성하고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William A. Luijpen과 Henry J. Koren은 저서 Existential Phenomenology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 과정에서 퇴적과 유사한 과정이 발생하며 그 결과는 사회적 사실성 또는 나의 사회적 신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준효과라기보다 크다. “그래서 사회적 사실성은 인간이 세상에 익숙해지기 위한 일련의 사회적 조건이며, 사물을 이해 가능하고, 의미 있고, 질서 있고 합리적으로 만듭니다. 철학자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이러한 감정이 어떤 공통 공간에서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할 때 주관성의 질적 차원은 개인이 자신을 발견하는 상황에 의해 먼저 형성되며, 이는 자신이 누구인지, 가치 있는 것, 선한 것, 환경에서 좋은 것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틀을 제공합니다. 주어진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법 등 이 모든 것을 뒷받침하는 것은 질적 평가에 대한 가정의 그림입니다. 이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개인은 살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회를 통치하기 위해 국가가 구성될 때 건전성 목표뿐만 아니라 도덕적 목표도 고려됩니다. 사리사욕, 선호, 욕망, 두려움, 행동의 장애물, 즉 개인의 내적, 외적 삶 전체가 먼저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됩니다.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그의 저서 To Have or To Be에서 인간의 양적 본성만 강조하는 사회적 조건에서 사는 것은 비인간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욕망과 선호, 자기 이익의 만족을 장려하는 사회와 국가가 이것이 어떻게든 더 높은 인간 능력을 실현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극히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이기심, 탐욕, 이기주의와 같은 성격 특성이 어떻게 행복에 필요한 사회적 협력, 유대감, 조화의 필요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까? 역사상 대부분의 위대한 사상가들은 이 질문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는 모두 우리의 질적 능력과 양적 능력을 구별했습니다. Fromm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들의 생각의 중심 요소는 만족이 일시적인 즐거움만을 가져오는 욕구(즉, 욕망)와 인간 본성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 성취가 인간 성장에 기여하고 행복을 만들어내는 욕구 사이의 구별이었습니다. 즉, 행복, 욕구.” 주관성의 질적 차원에 자신 및 세계와 적극적이고 비판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웰빙의 핵심 욕구가 포함된다면, 인간의 이러한 특성을 목표로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공허함과 불만을 느낄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것이 국가가 일차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러나 이는 국가가 그 과정에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역할이 무엇이든, 국가의 주요 목표는 이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파악하고 실현하는 것입니다.

4부

지금까지 우리는 스리니바산의 윤리적 국가 개념, 즉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개인의 신중한 목표를 확립하는 국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렇다면 선택의 자유만이 중요하기 때문에 국가가 윤리적이라는 두 번째 사고 방식, 즉 국가가 유지해야 하고 이를 통해 행사되는 근본적인 목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이러한 이해에 반대하여 내가 제시할 주장은 우리가 이 맥락에서 자유라는 단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선택의 자유가 국가의 주요 목표이고, 윤리적이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려는 개인의 결정에 간섭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면, 자유 선택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해야 합니다. 국가 수립의 건전성 이론에 따르면, 국가는 개인이 자신의 욕망과 행복에 대한 개인적인 개념을 추구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기 때문에 윤리적입니다. 이는 도덕적 문제가 아니라 합리성을 계산하는 과정, 즉 합리적인 수단을 찾는 과정이며, 국가는 개인이 공존하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것처럼 국가는 그 이상입니다. 국가는 사회를 조직하고 국민이 준수해야 할 법률과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을 이해하는 틀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물론 이것이 개인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국가보다 가족이 더 중요한 유일한 요소는 아닙니다. 그러나 국가는 법을 통해 이러한 다른 영향을 조직하므로 다른 요소가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도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요소 모음은 도덕적 숙고에 필요한 개념을 형성하고, 어떤 목표를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 결정하며, 좋은 것과 나쁜 것, 옳고 그름을 구별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합니다.

현재 제안에서는 윤리적이라는 용어는 국가가 단지 건전한 활동이 아닌 도덕적 활동임을 의미하며, 국가의 유일한 목적은 개인이 선하거나 가치 있다고 믿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강제되지 않은 선택을 함으로써 어떤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동의하는 한 윤리적입니다. 선택의 자유는 모든 인간 행동과 일의 주요 목적입니다.

이는 선택의 가치를 얼마나 강조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합니다. 첫 번째 문제는 선택이 포기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즉 누군가가 국가 가입에 동의할 때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 경우, 국가가 일부를 허용하더라도 사람들이 가입을 선택한다는 이유만으로 국가는 여전히 국가라는 것입니다. 인간의 존엄성에 해를 끼치는 조건은 윤리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선택이 국가의 주요 목적으로 간주되고 포기될 수 없는 경우에도 선택이 자유 선택에 필요한 진정한 자유, 즉 자율성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문제는 감지하기가 더 쉽지만 두 번째 문제는 더 미묘합니다. 첫 번째 질문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누군가가 국가에 가입하고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논의의 목적상 개인이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고립되었다고 느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Erich Fromm은 자신의 저서 Escape From Freedom에서 종교 개혁 이후 교회 영향력의 쇠퇴를 조사하여 이 문제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시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중세 세계는 인간이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살아야 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신이 창조한 완벽하게 질서 있고 시대를 초월한 구조로 간주되었습니다. 개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삶을 조직해야 하는지, 어떤 목표를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개인적인 질문에 직면하지 않습니다. 교회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고 세상에 대한 소속감을 제공합니다. Fromm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 세계에서 독특하고 변하지 않으며 의심의 여지가 없는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구조화된 전체에 깊이 뿌리박혀 있으므로 삶은 의미가 있으며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고… 사회 질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 질서로 간주되며 그 일부가 되면 안정감과 소속감을 갖게 됩니다.” 역사가 마시 쇼어(Marci Shore)는 신이 “중심 위치를 잃었을 때” 더 이상 표준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믿습니다. 인간의 삶에 대한 책임이 인간 자신에게 넘어가면, 다시 채워야 할 거대한 공백이 남게 되고, 인간은 더 이상 자신이 모든 것의 중심이라고 생각할 수 없게 됩니다. 그들은 사회가 어떻게 조직되어야 하는지, 삶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됩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외부의 비인간적 기준에 의해 부과되기보다는 인간 이성 자체에 의해 형성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자유에는 그에 따른 대가가 있었습니다. 도스토옙스키는 이 대가를 그의 유명한 말로 표현했습니다: 신이 없다면 모든 것이 허용됩니다. 즉, 세상이 질서 있고 조화롭고 합리적이며 친절해 보일 수 있는 궁극적이고 비인간적인 현실은 없습니다. 그러면 모든 것이 풀려날 것입니다. 인간의 삶에 필요한 이전의 안정된 상태를 회복하는 것은 인간 자신만이 짊어질 수 있는 부담이다. 20세기 철학자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는 자신의 저서 <모호함의 윤리>에서 “이제 인간은 외계 세력이 창조하지 않은 세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며, 그 세계는 인간이 만들어낸 실패와 승리의 결과이다. 신은 용서하고 지우고 보상할 수 있지만,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의 잘못은 돌이킬 수 없다.”

현대 사회에서 소외를 경험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근대성이 이러한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프롬의 말에 따르면, 인간은 이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와 같은 역사가들은 20세기 권위의 부상은 개인이 새로운 형태의 자유를 포기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책임을 포기하는 상황에서 나왔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선택이 완전히 제거되어 주관성을 무의식적인 것으로 축소하고 더 이상 자신의 행동과 계획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으며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더 이상 책임을 지지 않는 주체로 만듭니다. 20세기의 역사가 보여주듯이 이러한 상황은 비참하다. 따라서 개인이 자유와 자율성을 포기하도록 허용하려는 사이버 국가는 윤리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국가는 도덕적, 윤리적 선택을 피하려고 노력하며 이에 대처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문제의 두 번째 부분인 자유는 주요 가치이며 포기될 수 없다는 점은 선택을 순전히 부정적인 행위로 이해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실수는 단순한 선택과 자유 선택을 혼동하는 것입니다. 신중한 견해가 개인의 목표가 궁극적으로 개인에 의해 형성된다고 잘못 가정하는 것처럼, 이 윤리적 관점은 선택이 개인이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순히 1차 욕구를 추구하는 것일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전적으로 본능에 의한 반면 실제 선택을 하는 데 필요한 능력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선택이 욕망 자체의 본질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만족을 극대화하는 문제라면, 성찰, 숙고, 숙고는 일반적으로 행복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이자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일 뿐입니다. 그러나 욕망을 확인하지 않고 본능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는 것으로 당연하게 여긴다면 실제로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즉, 2차 욕구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1차 욕구에만 따라 행동하는 것은 반성보다는 충동, 본능, 성향에 따라 행동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선택은 성찰과 숙고, 개인의 의지에 따른 고려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철학자 칸트는 자율성과 타율성을 구별했다. 이것을 이해하면 주장이 명확해질 것입니다.

자율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행동의 근원이자 스스로 결정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율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그 행동이 개인의 의지 외부에 있는 영향력과 힘에 의해 촉발되고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자유로운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의지 외부의 것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적인 행동의 결과여야 합니다. 철학자 폴 프랑코는 자신의 저서 헤겔의 자유철학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칸트는 홉스가 옹호한 자유에 대한 자연주의적 이해를 거부했습니다. 의지는 그 자체 외부의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지점에서 욕망 기반임을 알 수 있습니다. 행동은 자유 선택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욕망이 외부 환경 조건에 의해 형성된다면 이러한 욕망의 표현은 처음에는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개인의 양육 및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건화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단순한 선택은 자유 선택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묻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개인의 선택이 완전히 자유롭지 않더라도 국가가 왜 신경써야 합니까? 자유를 탐구하는 것은 개인의 일입니다. 나는 이것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국가는 개인의 순수한 선택이 아닌 자유로운 선택을 방해하거나 강요해서는 안 되며, 개인이 자율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발전, 즉 보다 질적인 주체성의 차원에 위치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조건을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여기서의 목표는 국가가 이를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율성이 국가가 추구해야 할 목표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것입니다. 이 목표를 이차적 지위로 격하한다는 것은 마치 인간의 능력이 다른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인간 활동을 다른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국가의 목표는 인간을 그 자체의 목적으로, 그리고 국가가 권위로서 갖는 정당성의 이유로 기능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기심과 도덕성을 혼동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윤리적 사이버 국가는 자율성을 주요 목적으로 간주합니다. 목표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조건 개발에 가장 잘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입니다. 어떤 정부가 되어야 하는지, 어떤 법률이 가장 좋은지, 어떤 제도가 필요한지 등을 이러한 용어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관련 활동에 대한 오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국가에 가입하기로 선택한 개인에게 비인간적인 조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관(기관은 본문에서 기관의 모든 의미를 포괄할 수 없음)

자율성(자율성도 일반적인 번역이지만 자율성은 더 현실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율성-타율성 이분법의 문자 그대로 대칭은 중국어에 반영될 수 없습니다.)

주관성(학술 분야의 보편적 번역)

Ethical Ethical (도덕적으로 번역하면 도덕적과 구별되지 않으며, 본문에서는 윤리적과 도덕적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윤리적으로 번역하면 중국어 원어민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 있음)

원칙(기본/중요는 둘 다 매우 모호하며, 기본 또는 원칙은 목표 순위에서 자율성의 트럼프 위치를 강조할 수 있음)

민족(다음 세 가지 이유로 국가 또는 다른 일반적인 번역으로 번역되지 않음: i) 인용된 마르크스 텍스트의 공식 번역은 민족입니다. ii) 상상의 공동체에서 논의 대상은 민족 의식입니다. iii) 이 기사에서는 민족국가를 사용하거나 민족과 국가를 구별하기 위해 논쟁 없이 국가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민족으로 번역됨)

심의 (주의 또는 심의 모두 허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중함/신중함(영어의 일상적인 의미는 신중하고 미래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중국어의 계획 및 신중함과 유사합니다. 철학의 기술적 사용에서는 일반적으로 자기 이익을 나타냅니다.) 고려. 중국 철학 문헌의 번역은 신중하다는 뜻이지만 사리사욕의 기술적 의미를 반영할 수는 없지만 당분간 더 나은 번역은 생각나지 않습니다)

신뢰 신뢰 (어떤 곳에서는 신뢰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률적으로 신뢰로 번역하겠습니다)

계정 이론(보다 문자적인 의미는 설명, 설명, 방어, 이론적 틀일 수 있지만 여기서는 독자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번역자가 이론으로 번역했다고 느낍니다)

모달 혼란(Modal Confusion) 모달 혼란(모달의 직역은 모달인데, 이는 모달 논리-모달 논리와 같이 철학에서도 흔히 사용되지만 좀 더 추상적인 것 같습니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달로 변경합니다. 논리. 모델; 혼란은 혼란/혼란/장애/등으로 번역됩니다. 모두 허용됩니다.

마르크스의 텍스트는 모두 작품편찬국의 공식 버전으로 번역되었으며, 다른 텍스트는 중국어 출판물(있는 경우)의 번역과 대조되지 않았습니다.

창작 글, 작자:DoraHacks。전재 / 콘텐츠 제휴 / 기사 요청 연락처 report@odaily.email;违규정 전재 법률은 반드시 추궁해야 한다.

ODAILY는 많은 독자들이 정확한 화폐 관념과 투자 이념을 수립하고 블록체인을 이성적으로 바라보며 위험 의식을 확실하게 제고해 달라고 당부했다.발견된 위법 범죄 단서에 대해서는 관련 부서에 적극적으로 고발하여 반영할 수 있다.

추천 독서
편집자의 선택